[한반도 브리핑] 김정은 "전쟁 기회 주면 南 초토화"…푸틴과 '원팀' 자신감?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 주간의 한반도 정세와 외교·안보 이슈를 정리해 보는 토요일 대담 코너 '한반도 브리핑'입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지난 연말에 '대사변,' '영토 평정'을 운운하더니, 이제는 "기회만 오면 주적인 대한민국을 초토화하겠다."라고 벼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은 이 문제 중심으로 한 주간 한반도 상황 정리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국제, 외교·안보 분야 담당하는 이치동 기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살펴볼 핵심 내용들부터 정리해 볼까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반도를 둘러싼 정치·외교, 군사적인 상황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다룰 내용 정리하고, 조금 더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김정은이 공개적으로 대한민국을 주적으로 규정했습니다.<br /><br />전쟁할 기회가 오면 남한을 초토화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습니다.<br /><br />북한군이 서북 도서 인근에서 잇달아 포성을 울리며 본격적으로 대남 무력시위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이에 우리 군은 이제 *적대행위 중지를 위한 완충 지대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선언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러시아에 제공한 탄도미사일이 실제로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쓰인다고 백악관이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북러 간 무기 거래는 불법이지만, 딱히,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2024년, 이제 2주가 지났는데, 북한이 위협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반도 정세가 걱정되는데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김정은 위원장이 연말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남한과 동족 관계를 끊고, 영토 평정을 준비한다고 했죠.<br /><br />이번 주 군수공장 시찰 때는 대한민국이 주적이고, 전쟁을 마다하지 않겠다고 했습니다.<br /><br />기회만 주면 남한을 초토화하겠다고 했는데요<br /><br />먼저 관련 발표 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대남 심리전을 이끌고 있는 동생 김여정도 나서서 "북한 군대의 방아쇠는 안전장치가 해제돼 있다."고 거들었습니다.<br /><br />남매의 말 폭탄 강도가 점점 세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남측을 주적이라고 하는 건 새로운 건 아닌데요.<br /><br />하지만, 김정은이 직접 대한민국을 '주적'이라고 못 박은 건 처음이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죠.<br /><br />2년 전만 해도 김정은이 남한 자체가 주적이 아니라, 미국과 한국의 군사 위협이 주적이라고 했었거든요.<br /><br />이번에 김정은이 공개적으로 우리를 주적으로 규정한 겁니다.<br /><br />주적이라는 표현이 김정은 입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아침에 조선중앙통신이 전원회의 결과 이행 차원에서 민족화해협의회 등 남북 관계, 교류 협력을 담당하는 기구들을 모두 정리한다고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다음 주 월요일이죠.<br /><br />15일에 우리 국회 격인 최고인민회의가 예정돼 있습니다.<br /><br />새해 예산 문제 등이 다뤄질 거로 보이는데, 파격을 좋아하는 김정은이 깜짝 참석해서 시정 연설을 할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대남 문제에 대해 초강경 입장을 내거나, 후속 조치를 발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사실 주적이라는 표현을 공식화하는 건 한국에서도 민감한 문제잖아요.<br /><br />김정은의 속내에 대한 여러 관측이 나오고 있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한의 주적이 미국에서 한국으로 바뀐 건데요.<br /><br />과녁을 이동한 셈이죠.<br /><br />말씀하신 대로, 우리도 집권 세력이 바뀔 때마다 국방 백서에 북한을 주적으로 명시하냐 마냐를 두고 논란이 있었습니다.<br /><br />보통 국가 간 주적이라는 용어를 공개적으로 쓰진 않습니다.<br /><br />외교상 운신의 폭을 좁히기도 하고, 대외적으로 도움이 안 되는 거죠.<br /><br />굳이 쓴다면, 최대 위협 뭐 이 정도 표현을 많이 씁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남북 간은 특수한 상황이긴 합니다.<br /><br />체제 경쟁은 끝났지만, 현실적으로 이념 대치를 하고 있으니까요.<br /><br />윤석열 정부가 "북한 정권과 군을 명백한 적"으로 규정했습니다.<br /><br />일반 주민들과는 구분 지은 겁니다.<br /><br />윤 정부에 대한 적개감이 강하고,<br /><br />또한, 하노이 회담의 충격적인 실패 이후에 김정은이 군부 강경파를 의식하고 있고, 물밑에서 지속적으로 스며드는 남한 문화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거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경제일꾼들 사이에선 자본주의에 대한 동경, 신비주의가 퍼지고 있고, 6.25 전쟁을 잘 모르는 신세대들의 안보 의식 저하 속에 체제 단속, 사상 통제 목적도 있다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런 말 폭탄에 더해 실제 행동으로 접경지역에서 무력시위까지 재개했습니다.<br /><br />주민들이 많이 불안하실 텐데요.<br /><br />그나마 안전판 역할을 하던 완충지대도 사라져서 위기가 일상화된 거 같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작년 11월 북한이 정찰위성을 발사한 이후에 9.19 남북 군사합의가 사실상 휴지 조각으로 전락했습니다.<br /><br />새해 벽두 북한이 사흘 연속으로 연평도와 백령도 인근 지역에서 사격 훈련을 하자, 우리 군이 군사훈련 등 상호 간 적대 행위 중지 구역, 이른바 완충지대는 더 이상 없다고 선언했습니다.<br /><br />발표 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서해 북방한계선 NLL 주변은 북한의 국지도발과 남북 간 충돌이 종종 발생했던 곳입니다.<br /><br />1999년 제1차 연평해전이 있었고요.<br /><br />3년 뒤 제2연평해전이 터집니다.<br /><br />그리고 2010년에 있었던 천안함 폭침, 연평도 포격 도발이 대표적인 예입니다.<br /><br />'한반도의 화약고'라고 불리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도 한반도 정세 관리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예전에는 북한 도발로 일촉즉발 상황이 돼도 어떻게든 대화국면으로 넘어갔는데, 이제는 양상이 다를 수도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전술핵 자신감이 생겼고,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도 지켜봐서 상황 오판의 유혹에 빠질 수도 있다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아시듯이, 1990년대에 우크라이나가 핵을 포기하고 그 많던 핵무기를 러시아에 넘긴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 와중에 김정은 위원장이 이례적으로 일본 기시다 총리에게 메시지를 보내서 이런저런 해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근 일본 지진 피해에 대해 위로 전문을 보냈습니다.<br /><br />김정은이 기시다에게 이런 걸 보낸 게 처음이기도 하지만, 눈에 띈 건 '각하'라는 호칭을 쓴 겁니다.<br /><br />성급할 수도 있지만, 북일 대화 재개를 모색하는 거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됩니다.<br /><br />보통 남북대화를 발판으로 미국과 협상을 시도했는데, 이제 남한은 ...